내진_열교차단파스너

환경과 인간의 미래를 생각하는 환경 친화적 기업

개요

열교차단 파스너(TBF)란?

기존 공법은 외단열 설치 후 외장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앵커 및 파스너 부위의 단열재를 심각하게 파내거나 훼손을 하게 되며 단열재가 훼손된 부위를 우레탄 폼으로 충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. 또한 기존 공법은 관리 감독이 상당히 어려운 설정이며 앵커 및 패스너 주위의 열교현상으로 결로가 발생되고 에너지가 손실되는 심각한 상황에 처해있다.
열교차단 파스너(Thermal Break Fastener)는 기존 외단열 공법의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하였으며 앵커 및 패스너의 열교차단 뿐만 아니라 단열재 고정과 외장재 고정을 동시에 할 수 있어 공사비 절감 및 공기 단축 효과가 있는 외단열 건축물의 외장재 설치방법이다.

TBF 개발배경
건물에너지 성능기준 강화

국가 건축물 에너지 효율화 정책

  •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목표('20년 26.9%)
  • 2017년 Passive House 수준의 단열성능 강화
  • 2025년 제로에너지 건축물 의무화 (주거, 비거주)
  • 건축물 에너지 소비 총량제 확대(업무시설→모든 건축물)
  • 건축물 에너지 목표관리제, BEMS 활성화 추진

외단열 공법의 중요성
  • 강화된 에너지 성능기준을 충족하기 위하여 외단열은 필수입니다.
  • 내단열은 구조상 단열의 끊김으로 인해 열교현상이 발생하여 에너지손실 및 결로의 직접적인 원인이 됩니다.
  • 내단열 적용 건물의 열화상 촬영 결과
  • 외단열 적용 건물의 열화상 촬영 결과
기존 파스너 공법 시공사례
  • 트러스 용접 시공
  • 트러스 설치 전 단열재 절개
  • 석재 마감 공정
  • 마감재 설치 전 단열 시공
기존 파스너 공법의 문제점
  • 단열재를 파내고 우레탄 폼 충전
  • → 공사비 증가, 산업폐기물 발생, 우레탄 폼 충전 시 관리 감동 어려움
  • 외장재 고정 장치(앵커,파스너 등)의 열교현상
  • → 에너지 손실, 결로발생 원인
  • → 제로에너지하우스 실현 불가
  • 벽체에서 외장재까지 마감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 확보를 위해 트러스 설치 불가피(석재마감)
  • → 공사비 증가, 공기지연
  • → 화재 위험, 용접부 조기 산화 등 안전성 문제

파스너 설치시 단열재의 훼손을 최소화하고
기밀 시공으로 열교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외장재
설치 공법이 요구됨

TBF 시스템 소개
TBF SYSTEM 특징
  • 열교차단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합니다.
  • 단열재와 외장재를 동시에 고정합니다.
  • 무용접, 무트러스 공법으로 화재로부터 안전합니다.
  • 단열재를 파내거나 우레탄 폼을 충전하지 않아도 단열 성능이 우수합니다.
  • 작업 공정이 줄어들어 공사기간을 단축시키고 원가를 절감시켜 줍니다.
  • TBF 시스템과 단열재 시공을 병행하면 원가절감 효과가 큽니다.
싱글앵커타입 베이직
싱글앵커타입 옵티마
트윈앵커타입 유틸리티